100년 전 1억 명 목숨 앗아간 스페인 독감
Spanish flu: the killer that
still stalks us, 100 years on
Influenza
victims in an emergency hospital near Camp Funston (now Fort Riley)
in Kansas in 1918. Photograph: AP Photo/National Museum of Health
The pandemic wiped out up to 100 million lives, but scientists still struggle to explain what caused it. The answers could ensure that it never strikes again.
One hundred years ago this month, just as the first world war was drawing to a fitful close, an influenza virus unlike any before or since swept across the British Isles, felling soldiers and civilians alike. one of the first casualties was the British prime minister and war leader, David Lloyd George.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18년 9월, 세계 1차대전의 총성이 서서히 멎어가던 그때 전에 없던 독감 바이러스가 영국령 제도를 휩쓸기 시작했습니다. 참전 중인 군인과 민간인을 가릴 것 없이 병은 빠르게 퍼져나갔고, 영국의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총리도 독감을 앓았습니다.
On 11 September 1918, Lloyd George, riding high on news of recent Allied successes, arrived in Manchester to be presented with the keys to the city. Female munitions workers and soldiers home on furlough cheered his passage from Piccadilly train station to Albert Square. But later that evening, he developed a sore throat and fever and collapsed.
9월 11일, 연합군의 잇따른 승전보에 한창 고무돼 있던 로이드 조지 총리는 맨체스터를 방문했습니다. 탄약을 비롯한 군수품 제조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과 휴가 중인 군인들까지 총리를 환영하러 나온 인파가 피카딜리 기차역부터 앨버트 광장까지 가도를 가득 메웠습니다. 그러나 그날 저녁부터 로이드 조지 총리는 갑자기 목이 따갑고 열이 나더니 시름시름 앓기 시작했습니다.
He spent the next 10 days confined to a sickbed in Manchester town hall, too ill to move and with a respirator to aid his breathing. Newspapers, including the Manchester Guardian, underplayed the severity of his condition for fear of presenting the Germans with a propaganda coup. But, according to his valet, it had been “touch and go”.
로이드 조지 총리는 이후 열흘 동안 맨체스터 시청 한편에 마련된 병상에 갇혀 옴짝달싹하지 못하는 신세로 지냈습니다. 너무 아파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고 호흡기가 없으면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할 정도였죠. <맨체스터 가디언>을 비롯한 신문들은 총리의 병세를 대단하지 않은 것처럼 다뤘습니다. 전쟁 중인 독일군이 이를 알고 대대적으로 선전 공세에 나설까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로이드 조지 총리 옆에서 병 수발을 든 이들의 말에 따르면 총리는 거의 사경을 헤맸던 것으로 보입니다.
Lloyd George, then aged 55, survived, but others were not so lucky. In an era before antibiotics and vaccines, the “Spanish influenza” – so-called because neutral Spain was one of the few countries in 1918 where correspondents were free to report on the outbreak – claimed the lives of nearly 250,000 Britons. Cruelly for a nation that had seen the flower of British male youth mown down by German guns, the majority were adults aged 20 to 40. The mortality was the inverse of most flu seasons, when deaths fall most heavily on the elderly and the under-fives.
당시 55살이었던 로이드 조지 총리는 독감에서 낫고 간신히 살아납니다. 하지만 모두가 그렇게 운이 좋았던 건 아닙니다. 아직 항생제와 백신이 개발되기 전의 시대였습니다. 스페인 독감(Spanish influenza, 대부분 언론을 엄격히 통제하고 검열하던 전시 상황에서 언론 검열 없이 상황을 자유롭게 보도할 수 있던 중립국 스페인 언론이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영국에서만 25만 명 가까운 사람이 죽었습니다. 끔찍한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군인들이 대부분 20~40대 젊은 남성이었다면, 독감은 노약자나 어린이들부터 공략합니다.
The global death toll was inconceivab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estimates, between 50 million and 100 million people worldwide perished in the three pandemic waves between the spring of 1918 and the winter of 1919. Adjusting for population growth, that is equivalent to between 200 million and 425 million today.
전 세계적으로 몇 명이 목숨을 잃었는지 정확한 집계는 없지만, 가장 최근 집계에 따르면 1918년 봄부터 1919년 겨울 사이 세 차례 창궐한 전염병에 전 세계적으로 적게는 5천만 명, 많게는 1억 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보입니다. 100년 사이 세계 전체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에 지금으로 따지면 2억 명에서 많게는 4억 2,500만 명이 독감으로 죽은 셈입니다.
Unlike now, when reports of new bird flu outbreaks in south-east Asia are closely monitored by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there was no early warning system. Consequently, when it was reported in May 1918 that King Alfonso XIII was ill in Madrid, most people dismissed the Spanish flu as a joke. The main advice was to gargle with salt water and to isolate yourself until the fever had passed. However, these rules did not apply to munitions workers who were urged to “carry on” for the sake of the war effort.
지금은 전 세계 어디서 조류독감이 발견되면 곧바로 세계보건기구 상황실(war room)로 보고되고 바로 체계적인 방역과 격리 조치가 시작되지만, 100년 전에는 조기 경보 체계가 전혀 없었습니다. 오히려 스페인의 국왕 알폰소 3세가 마드리드에서 독감에 걸렸다는 뉴스가 전해졌을 때 많은 사람이 농담이라고 생각하거나 이를 대수롭지 않게 넘겨버린 걸 보면 사람들은 독감이 얼마나 무서운지 전혀 몰랐던 것으로 보입니다. 감기에 걸리면 소금물로 입안을 헹구고 열이 내릴 때까지 스스로 다른 사람을 만나지 말고 쉬라는 정도가 대책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마저도 빨리 전장에 군수품을 보내야 했던 공장 노동자들은 예외였습니다. 아파도 쉬지 못하고 일한 결과 독감 바이러스는 빠르게 퍼졌습니다.
As in other 20th-century epidemics and pandemics, such as HIV/Aids, Africans and Asians suffered proportionately more than Europeans and north Americans. Thus, while the average case mortality in the developed world was about 2%, in India, where 18.5 million perished, it was 6%, and in Egypt, where 138,000 died, it was 10%. In isolated regions with “virgin” populations with no immunity to flu, the impact was truly astonishing – in Western Samoa, for example, a quarter of the population was wiped out. By contrast, American Samoa recorded no casualties.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HIV/Aids)을 비롯한 다른 유행병, 전염병과 마찬가지로 스페인 독감으로 인한 피해도 유럽이나 북미 사람들보다 아프리카, 아시아인들이 더 컸습니다. 선진국에서는 스페인 독감에 걸린 환자의 치사율이 대략 2% 정도였지만, 무려 1,850만 명이 숨진 인도에서는 치사율이 6%나 됐고, 이집트에서는 치사율이 10%에 육박해 13만 8천 명이 스페인 독감으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독감 바이러스에 면역이 전혀 없는 고립된 도서 지역에서는 피해가 막심했는데, 예를 들어 서사모아에서는 인구의 1/4이 몰살됐습니다. 아메리칸 사모아에서는 사망자가 한 명도 없던 것과 대조되는 결과입니다.
The severity of the pandemic and the peculiar death pattern puzzle scientists to this day. Few epidemiologists believe the pandemic began in Spain, pointing instead to pre-pandemic waves in Copenhagen and other northern European cities in the summer of 1918. Where the virus first leapt from birds to humans or some other mammal is even more perplexing, with some scientists favouring a Kansas point of origin and others northern France or China.
왜 이렇게 유달리 급속도로 독감이 퍼졌고, 사망에 이르는 독특한 역학적 패턴은 오늘날까지도 과학자들이 그 수수께끼를 다 풀지 못한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독감에 붙은 이름과 달리 바이러스가 처음 스페인에서 발견돼 퍼지기 시작했다고 믿는 역학자들은 거의 없습니다. 대신 많은 역학자가 독감이 본격적으로 퍼지기 전인 1918년 여름 코펜하겐과 다른 북유럽 도시 몇 군데에서 감기가 돌았던 점을 지적합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직접 사람에게 옮은 건지, 아니면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다른 가축 등 포유류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사람에게 옮은 건지 그 경로를 밝히는 일은 훨씬 더 복잡해 지금껏 누구도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미국 캔자스를 바이러스의 진원으로 지목하는 과학자들도 있고, 북부 프랑스나 중국을 꼽는 사람도 있습니다.
Earlier this year, in search of answers for a new podcast series, I travelled to Washington DC to interview one of the world’s leading experts on the 1918 pandemic. Jeffrey Taubenberger, a molecular pathologist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has been studying the Spanish flu virus for more than 30 years. In the late 1990s he succeeded in retrieving fragments of viral RNA from stored pathology specimens taken from American soldiers who had died of flu at US army camps in 1918 and an Inuit woman who been buried on a beach in Alaska, where the permafrost had preserved her lung tissue from decay.
저는 올해 초 1918년 지구를 휩쓴 공포의 스페인 독감에 관한 세계 최고의 전문가로 손꼽히는 미국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의 분자 병리학자 제프리 토벤버거(Jeffrey Taubenberger)를 새로 진행하는 팟캐스트 방송에서 인터뷰했습니다. 토벤버거 박사는 벌써 30년 넘게 스페인 독감을 연구해 온 이 분야의 석학으로, 약 20년 전에는 1918년 미군 병영에서 스페인 독감으로 숨진 군인의 몸에서 병리 목적으로 떼어낸 견본 조직과 당시 알래스카 해변에 묻힌 이누이트 여성의 폐 조직에서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RNA 조각을 찾아 복구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이누이트 여성의 시신은 알래스카의 동토층에 묻힌 덕분에 부패하지 않고 보존됐습니다.
US Army Camp Hospital at Aix-les-Bains, France. Photograph: Alamy
Using modern molecular techniques, Taubenberger and his colleague, Anne Reid, amplified the fragments and, in 2005, published the virus’s genetic sequence. Their findings were a shock. Previously, epidemiologists had observed that flu pandemics were preceded or followed by outbreaks of influenza-like illnesses in dogs, cats, and horses. It was also known that from time to time flu viruses could infect pigs and, of course, humans, and that wild flu viruses circulated in migratory waterfowl. However, when Taubenberger analysed the genome of the Spanish flu, he found that most of its genes were derived from a bird flu virus. Indeed, Taubenberger considered the H1N1 virus so “avian-like’” he could not discount the possibility that it had transmitted directly from birds to humans shortly before 1918 – and perhaps as early as 1916.
현대 과학의 분자 기술을 활용해 토벤버거 박사와 앤 리드(Anne Reid) 박사는 바이러스의 RNA 조각을 확대, 분석한 뒤 2005년 바이러스의 유전자 구조를 펴냈습니다. 그들이 찾아낸 결과는 큰 충격이었습니다. 그전까지만 해도 역학자들은 (사람 사이에서) 독감이 유행하기 전이나 후에 개, 고양이, 말 등 사람과 가까이 지내는 가축이나 동물들에서도 유행성 독감이 같이 돈다고 믿어왔습니다. 또 그렇게 돈 독감 바이러스에 돼지나 사람이 감염되면 독감이 유행한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야생에도 감기 바이러스가 있지만 그건 철새들 사이에서만 도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토벤버거 박사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유전자 구조를 분석해봤더니 대부분 새에게서 발견되는 독감 유전자와 거의 똑같았던 겁니다. 토벤버거는 H1N1이라고 이름 붙인 독감 바이러스가 새들 사이에서 도는 바이러스와 너무 비슷하기 때문에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도 1916~1918년 어느 시점에 새들에게서 직접 사람으로 전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Taubenberger’s discovery raised the terrifying possibility that, in the future, some other avian influenza virus – like the H5N1 bird flu then circulating in south-east Asia or the H7N9 flu currently causing sporadic human infections in China – might suddenly acquire the ability to trigger a similarly devastating pandemic. It also begged the question, why bring the Spanish flu back to life, and what if the virus escaped the laboratory and fell into the hands of terrorists?
토벤버거의 발견은 곧 앞으로도 조류독감이 인수 공통 전염 바이러스로 변종되면 언제든지 유행성 독감이나 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무시무시한 결론이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동남아시아를 강타했던 H5N1 조류독감이나 중국에서 사람에게 옮아 두려움에 떨게 했던 H7N9 조류독감도 자칫 큰 전염병으로 커질 수도 있었습니다. 토벤버거의 연구에 왜 박물관에 있어야 할 옛날 역병의 망령을 불러냈느냐고 묻거나 독감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잘못 관리돼 바깥 사회에 퍼져 다시 유행병을 일으키거나 혹여나 바이러스가 테러 단체의 손에 들어가면 어떡하냐고 우려하는 이도 있었습니다.
To prevent that happening, Taubenberger and other scientists with access to the freezer containing the virus are screened by the FBI and must wear double-gloves, a respirator and a full body suit – like the ones worn by medical workers during the west African Ebola epidemic. They must also submit to an iris scan. “It’s really the equivalent to top secret clearance,” he says.
그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 토벤버거와 동료 과학자들은 냉동 보관된 바이러스를 연구한 전후에 매번 FBI의 검사를 받았고, 서아프리카에 에볼라가 창궐했을 때 의료진이 입는 것 같은 전신 작업복과 두 겹의 장갑, 호흡기까지 달고 연구실을 출입해야 했습니다. 또 매번 홍채 인식을 거쳐야만 연구실을 드나들 수 있었죠. 토벤버거 박사는 “마치 일급 국가기밀을 다루는 사람이라도 된 것 같았다”고 말했습니다.
Continued experimentation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nd other medical interventions. In mice, the H1N1 Spanish flu is extremely virulent, generating 39,000 times more virus particles than a modern flu strain. By targe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Taubenberger has shown that mice can be protected. But scientists are a long way from finding a cure for flu, much less a universal vaccine against seasonal and future pandemic strains.
그러나 어쨌든 백신을 개발하거나 치료법을 찾아내려면 연구와 실험을 계속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스페인 독감은 현대 독감 바이러스보다 무려 3만9천 배나 많은 바이러스 입자를 만들어내며 치명적인 위력을 드러냈습니다. 토벤버거 박사는 염증 반응을 확인했고, 이를 근거로 쥐를 독감 바이러스로부터 지켜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과학자들이 감기 바이러스를 물리칠 방법을 찾아내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너무나도 멉니다. 유행성 독감이나 전염병은 말할 것도 없고, 계절 독감에 듣는 일반적인 백신을 개발하는 것도 아직 요원합니다.
Frustratingly, it is still not known where and when the Spanish flu acquired its avian genes and first began spreading in humans. The genes map most closely to wild waterfowl from north America but, despite examining the Smithsonian Institute’s extensive bird collections, Taubenberger was unable to find viable autopsy remains from before 1918.
사실 스페인 독감이 정확히 어느 시점에 어디서 새의 독감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아 퍼져나갔는지도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습니다. 일단 유전자 지도로 보면 북아메리카에 머무는 철새와 가장 가깝긴 하지만, 토벤버거 박사는 스미소니안 연구소의 수많은 조류 데이터베이스를 다 뒤지고도 1918년 이전에 부검한 새의 기록이나 표본을 찾아내지는 못했습니다.
One theory is that the so-called “spillover” event occurred in early 1918, not far from an army camp in Kansas that supplied soldiers to the American Expeditionary Force. Certainly, there were explosive outbreaks of an influenza-like illness at Camp Funston, Fort Riley, in March 1918, followed by similar outbreaks along the eastern seaboard of the US and on the transatlantic troop carriers that ferried American troops to France. However, the earliest fragments of the pandemic virus obtained by Taubenberger date from May 1918, so there is no way of telling whether outbreaks prior to this were caused by the pandemic strain, as opposed to an ordinary seasonal influenza.
우선 1918년 초 유럽을 포함한 전쟁터로 파병하는 미군이 집결했던 캔자스주의 한 육군 부대 근처에서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았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분명 1918년 3월 캔자스 포트 라일리의 캠프 펀스톤 육군 부대에서는 유행성 독감과 같은 병이 돌았습니다. 이어 미국 동부 연안을 따라 독감이 퍼졌고, 대서양을 건너 미군을 프랑스까지 실어나른 수송선에서도 감기가 퍼졌습니다. 하지만 토벤버거 박사가 확인한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 가운데 가장 일찍 발견된 것이 1918년 5월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보다 전에 발생한 독감은 스페인 독감이 아니라 그냥 계절 독감이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쪽으로도 이를 입증할 방법은 현재로썬 없습니다.
A nurse checking on a patient at the Walter Reed hospital flu ward during the influenza pandemic in 1918. Photograph: Underwood Archives/Getty Images
A rival theory, favoured by the British virologist John Oxford, is that the pandemic began at Étaples, a huge British military camp an hour south-west of Boulogne. With accommodation for up to 100,000 soldiers, Étaples lay on a migratory bird flyway close to the Somme estuary and had all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 spillover event: wild waterfowl, plus chickens and pigs, living in close proximity to men packed into airless barracks. Étaples also had several hospitals where soldiers whose lungs had been compromised by mutagenic gases deployed on the battlefield were evacuated for treatment.
영국 바이러스학자 존 옥스포드는 미국이 아니라 영국군 부대가 스페인 독감의 진원지라는 주장을 오래전부터 해왔습니다. 당시 파리 교외 볼로뉴라는 곳에 영국군이 1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진을 치고 대규모로 주둔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 에타플(Étaples) 캠프에서 스페인 독감이 시작됐다는 겁니다. 솜강 어귀에 있는 에타플은 철새의 이동 경로 바로 근처에 있었으며, 수많은 철새에 사람들이 기르는 닭과 돼지 등 가축도 많았고, 부대 안의 병사들은 환기도 잘 안 되는 야전 막사에 빽빽이 모여 있었습니다. 또한, 에타플 캠프 내 야전 병원에는 화생방 공격 등으로 오염된 전장에 있다가 폐가 손상돼 입원해 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있었습니다.
In the winter of 1917, several hundred British soldiers collapsed with influenza-like symptoms and medics at Étaples recorded 156 deaths. At the time, the epidemic was labelled “purulent bronchitis” because of the yellow pus that oozed from the larger airways of the lungs at autopsy (some medics thought it resembled the lung damage from phosgene gas).
1917년 겨울 에타플에 머물던 영국군 수백 명이 감기 증상을 보였고, 기록에 따르면 겨울에만 156명이 감기로 숨집니다. 당시 감기로 숨진 군인의 시신을 부검하면 폐의 기도에서 누런 고름이 잔뜩 흘러나왔기 때문에 고름이 나온다는 뜻의 “화농성 기관지염(purulent bronchitis)”이라고 불렸습니다. 의무병들 가운데는 이 고름이 화학 무기 포스진(phosgene) 가스 공격을 받고 폐가 손상됐기 때문에 생겼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Another prominent feature was cyanosis, a distinctive purple-blue discolouration of the lips, ears and cheeks, caused by the loss of oxygen to the heart. Cyanosis was also a hallmark of the pneumonias associated with the Spanish flu – an observation that persuaded doctors writing in the Lancet in 1919 that it and purulent bronchitis had been “fundamentally the same condition”.
심장에 산소가 부족해져 입술과 귀, 볼이 검푸르게 변하는 치아노제(cyanosis)도 주요 증상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스페인 독감에 걸렸다가 폐렴까지 걸리게 된 환자들에게서 치아노제 증상이 특히 두드러졌는데, 의사들은 1919년 <랜쳇(Lancet)>에 낸 임상 보고서에서 화농성 기관지염과 치아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사실상 하나라고 썼습니다.
Another puzzle is why, in some cases of pneumonia associated with the Spanish flu, the onset was rapid and the lung damage highly localised, while in others, the infection resembled an aggressive bronchopneumonia with extensive haemorrhaging and swelling throughout the lungs. These features have never been adequately explained, with some pathologists arguing that the virus triggered an unusual auto-immune response known as a cytokine storm and others that extensive lung damage is better explained by bacterial infections that followed the flu – a big danger in the days before antibiotics.
또한, 똑같이 스페인 독감에서 시작된 폐렴이라도 어떤 때는 초반에 병의 진척이 매우 빠르고 손상되는 폐 부위는 매우 국지적인 반면, 어떤 때는 기관지 폐렴과 비슷하게 폐 전체가 붓고 출혈이 일어나는 건지도 아직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독감 바이러스가 과다 면역 반응의 하나인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일으켰기 때문이라는 병리학자도 있고,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에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던 박테리아가 폐를 망가뜨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어떤 설명도 정설로 인정받지는 못했습니다.
But perhaps the biggest unanswered question is why the Spanish flu proved so deadly to young adults. Here, present-day science has hypotheses but no good answers. one suggestion is that the elderly enjoyed greater immunity because, as children, they had been exposed to a pandemic virus with a similar genetic makeup to the H1N1 Spanish flu. Conversely, those aged 28 and over had an immunological blind spot because their first exposure had been to the 1890 “Russian flu”, an H3 virus with a completely different configuration of genes. Or it could be that the unusual mortality pattern seen in 1918 was the result of an as yet unidentified environmental exposure or stressor peculiar to young adults at the time.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가장 큰 궁금증을 자아내는 질문은 역시 스페인 독감이 왜 유독 상대적으로 더 건강해야 할 젊은 성인에게 유독 더 치명적이었느냐는 것일 겁니다. 시간이 흘러 과학자들이 수많은 가설을 내놓긴 했지만, 명확한 답이 될 만한 것은 아직 없습니다. 일단 당시 나이가 든 이들이 어렸을 때 스페인 독감의 H1N1 바이러스와 비슷한 유전 형질을 지닌 유행성 독감 바이러스에 노출된 적이 있어서 면역이 있었을 거란 설명이 있습니다. 반대로 1918년 당시 28살 이상이었던 성인들, 그러니까 태어나서 처음 접한 유행성 독감이 1890년의 러시아 독감(Russian flu)이었던 이들은 제대로 된 면역이 없었다는 겁니다. 러시아 독감은 H3 바이러스로 스페인 독감과 유전자 배열이 완전히 달랐습니다. 러시아 독감에 면역이 있었어도 스페인 독감에는 소용이 없었을 거라는 겁니다. 아니면 1918년에 나타나는 눈에 띄게 높은 치사율은 지금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당시 젊은이들에게 가해진 어떤 환경적인 요인이나 스트레스 요인 탓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Answering those questions is important because genes from the Spanish flu continue to circulate in human and pig populations to this day. Some of these genes are direct descendants of the 1918 virus; others have reassorted with other pandemic viruses, such as the 1968 Hong Kong flu and the hybrid H1N1 virus responsible for the 2009 swine flu pandemic. As Taubenberger puts it: “[The outbreak of] 1918 set up a very successful introduction of a bird-like virus in humans that has never gone away in 100 years. It really was the mother of all pandemics.’
이 질문에 답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명확합니다. 스페인 독감과 비슷한 유전 형질의 독감 바이러스가 여전히 사람과 돼지 등에게 아직도 남아 독감을 일으키고 있고, 돌연변이가 되어 더 큰 피해를 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기 때문입니다. 1918년 스페인 독감과 정확히 똑같은 바이러스도 100년 동안 살아남아 그대로 있고, 일부 바이러스는 1968년 홍콩 독감 바이러스를 만나 변종이 되기도 했고, 지난 2009년 (돼지 독감(swine flu)이라고도 불렸던) 신종플루 때 H1N1 기본 형질은 유지하면서도 조금 다른 바이러스가 되어 창궐하기도 했습니다. 토벤버거 박사는 이렇게 말합니다. “1918년 유행한 독감은 실로 모든 유행성 독감의 기원이라 부를 만하다. 그때 처음 성공적으로 인간에게 침투한 조류독감 형태의 바이러스가 변종이 되고 합성돼 더욱 강해지면서 100년을 거뜬히 버텨냈기 때문이다.”
Mark Honigsbaum is the author of Living With Enza: The Forgotten Story of Britain and the Great Flu Pandemic of 1918. His podcast, Going Viral: The Mother of all Pandemics, is available at Libsyn and other podcast providers. @GoingViral_pod.
Ada Darwin, photographed in 2005. She lost her mother, father and a brother in the outbreak of Spanish flu in 1918. Photograph: Christopher Thomond/The Guardian
The pandemic was especially hard on children, perhaps more than any other segment of the population. Take Ada Darwin, who was seven when the “Spanish Lady” called at the house in Manchester’s Moss Side she shared with her mother and five siblings.
유행병의 가장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은 아마도 어린이들이었을 겁니다. 스페인 독감을 이겨낸 생존자 가운데 한 명인 아다 다윈(Ada Darwin) 씨는 2005년 저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It was Sunday 17 November that I was put to bed,” Darwin recalled when I interviewed her at her home in Chester in 2005. “I remember this great big headache and telling my mother to ‘stop my sister Norah chattering, it’s making my head hurt’.”
“11월 17일 일요일이었던 걸로 기억해요. 잠자리에 들었는데 머리가 정말이지 깨질 듯이 아파서 어머니께 동생 노라가 제발 계속 재잘재잘 떠들지 좀 못하게 해달라고 간청했어요. 머리가 너무 아파서요.”
The next to fall ill was Ada’s mother, Jane Berry, and her baby sister, Edith, followed by her younger brothers, Austin, two, and Noel, four. With the whole family stricken, Ada’s grandmother was summoned to their home. But by the time she arrived, Ada’s mother was covered in dark blue patches – an indication she had cyanosis – and the prognosis was hopeless. She died the next day – Wednesday 20 November – followed, three days later, by Noel. Jane Berry was just 34.
이어 아다의 어머니 제인 베리 씨와 갓난아기였던 여동생 에디스, 남동생 오스틴(당시 2살), 노엘(당시 4살)이 모두 독감에 걸렸습니다. 온 가족이 병에 시름시름 앓자 가족을 보살피고자 할머니가 집으로 왔지만, 할머니가 도착했을 때 이미 아다의 어머니는 온몸이 검푸르게 변해버린 뒤로, 예후가 좋지 않았습니다. (치아노제 증상으로 추정) 다음날인 11월 20일 어머니는 34살의 나이로 숨을 거뒀고, 사흘 뒤 동생 노엘이 숨졌습니다.
Then, on 25 November, Darwin learnt that her 38-year-old father, Frederick Berry, a member of the Royal Army Medical Corps, had also died, most likely after catching the flu at Salford military hospital, where he had stayed on after the Armistice to nurse wounded soldiers. He was buried with full military honours at Manchester Southern Cemetery on 29 November, along with Darwin’s mother and Noel. Aged 94, Darwin could still recall the triple funeral cortège as it passed her primary school.
다윈 씨가 육군 병원에서 일하던 아버지 프레데릭 베리도 숨졌다는 걸 알게 된 것은 25일의 일이었습니다. 아버지의 나이는 38살이었습니다. 아버지는 휴전 이후 부상병들의 치료를 돕고자 살포드에 있는 육군 병원에서 일해 왔습니다. 환자로부터 독감 바이러스에 옮았을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11월 29일, 아버지의 장례식은 어머니, 그리고 동생 노엘과 함께 육군장으로 치러졌고, 시신은 맨체스터의 묘지에 묻혔습니다. 아다 다윈 씨는 아직도 부모님과 동생의 관이 자신이 다니던 초등학교 앞을 지나던 장면을 94살이던 인터뷰 당시에도 똑똑히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It’s like a film in my head,” she told me in 2005. “There were the black horses with the plumes made from ostrich feathers, then the gun carriage with my dad’s coffin covered with the union flag. My mother’s coffin was in a big glass hearse with Noel’s coffin under the driver’s seat. My grandma told us my mother had gone to Jesus, but I said, ‘Jesus has got plenty of people, I want my mummy’.”
“제 머릿속에는 영화 속 한 장면처럼 선명하게 남아있어요. 타조 깃털로 만든 장식을 단 검은색 말들이 앞장서고 이어 영국 국기로 덮은 아버지의 관을 총을 든 군인들이 호위하고 가고 있었죠. 어머니의 관은 커다란 유리로 된 영구차에 실려 있었고, 노엘의 관은 운전석 아래 있었어요. 할머니가 제게 엄마는 예수님 곁으로 갔으니 걱정 말라고 말씀해주셨지만, 저는 ‘예수님 곁에는 이미 사람들이 많이 있을 텐데 왜 우리 엄마를 데리고 가는지, 난 엄마가 보고 싶은데’ 하는 생각만 했어요.”
Darwin was not the only child to be orphaned by the flu. In Cape Town, observed one eyewitness, the autumn wave “made orphans of between two to three thousand children”.
젊은 부모 가운데 희생자가 워낙 많았기 때문에 다윈 씨 같은 사연을 지닌 이들도 정말 많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는 스페인 독감으로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아이들이 2~3천 명이나 된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In London, meanwhile, it is estimated that 16,000 people perished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1918, the majority of them young men and women. The result was that 1919 would be the first year since records began that Britain’s death rate exceeded its birthrate.
런던에서는 1918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만 1만6천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대부분 젊은이들이었습니다. 이듬해까지 스페인 독감이 맹위를 떨치며 1919년은 영국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은 해로 기록됩니다.
Today, there are few people still alive to recall those dark days in November when, according to Manchester’s chief medical officer, James Niven, “it seemed as if it would not be possible to get coffins for the dead, or gravediggers to dig the graves”. All the more reason why, in the centenary year of the pandemic, it is worth recalling the experiences of Darwin and other survivors of the Spanish Lady.
100년이 지났습니다. 스페인 독감을 직접 경험했던 사람들 가운데 아직 살아있는 이들은 이제 많지 않습니다. 맨세스터시 보건국장 제임스 니벤의 표현을 빌리면 “워낙 죽는 사람이 많아서 관을 맞춰 짜기도 어려웠고, 묘지 도굴꾼들이 도굴할 엄두도 내지 못할 정도”로 100년 전 겨울 나타난 바이러스는 엄혹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스페인 독감 발발 100년을 맞은 지금 다윈 씨 같은 생존자들을 더 찾아 이야기를 모으고 연구를 계속해야 합니다.
P.S.:黃薔(노란장미) 블친님의 참고로 하기 좋은
포스팅 이라 담아왔습니다.
黃薔(노란장미) 2020.01.29 14:07http://blog.daum.net/enature/15855059
'건강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일 확진자 中 넘어섰다.. (0) | 2020.02.28 |
---|---|
중국 바이러스 치사율 20% 아니면 2%?? (0) | 2020.02.23 |
바이러스 Virus (0) | 2020.02.12 |
회복을 위한 운동 (0) | 2017.08.07 |
운동 (0) | 2016.04.14 |